[Vue.js] Watch 사용 시 ref 와 reactive 차이
·
Frondend/Vue.js
1. ref와 reactiveref: 주로 원시 타입(String, Number, Boolean 등)을 반응형으로 만들 때 사용하지만, 객체나 배열도 감쌀 수 있습니다..value를 통해 값에 접근하고 변경합니다.reactive: 객체(Object)나 배열(Array)과 같은 참조 타입만을 반응형으로 만들 때 사용합니다. .value 없이 직접 속성에 접근하고 변경합니다.2. watch(ref)watch 함수에 ref로 선언된 변수를 직접 전달하면, ref의 .value 속성 변화를 감지합니다.코드 예시: Count: {{ count }} Increment Count User Name: {{ user.name }} User Age: {{ user.age }} Change U..
[Vue.js] 리스트 렌더링
·
Frondend/Vue.js
Vue.js 리스트 렌더링Vue.js에서 리스트 렌더링은 배열이나 객체를 기반으로 동적인 목록을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.이를 위해 v-for 디렉티브를 사용하며, 각 항목을 반복하여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.기본적인 v-for 사용법v-for 디렉티브는 배열의 각 요소를 반복하여 출력할 때 사용됩니다.// 숫자 범위 {{ n }} // 배열 또는 객체 {{ item.text }} 인덱스 사용두번째 선택 인자를 통해서 인덱스를 가져와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 {{ index + 1 }}번쨰 : {{ item.text }} 객체 사용시객체의 속성을 반복할 때, 객체를 받아서 사용할 수도 잇찌만 아래와 같이 value, key 형식으로 따로 받아서 사용가능 하며 이때는 세번째에 선..
[Vue.js] 조건부 렌더링
·
Frondend/Vue.js
Vue.js 조건부 렌더링이란?Vue.js에서 조건부 렌더링이란 특정 조건에 따라 DOM 요소를 표시하거나 제거하는 기능을 의미하며,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동적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.v-ifv-if는 조건이 참일 경우 요소를 렌더링하고, 거짓이면 DOM에서 제거합니다. 내용 숨기기 내용 보이기 v-if를 이용하여 내용이 사라지게도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.v-else 및 v-else-ifv-else는 v-if 조건이 거짓일 때만 요소를 렌더링하며, v-else-if는 추가적인 조건을 설정할 때 사용됩니다. 버튼 A를 눌렀습니다. 버튼 B를 눌렀습니다. 나머지 버튼들을 눌렀습니다. 버튼 A 버튼 B 버튼 C 버튼 Dv-showv-show는 display 속성을 변경하여 요소를 숨깁니..
[Vue.js] Vite란?
·
Frondend/Vue.js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[Vue.js] ref 와 reactive 차이점
·
Frondend/Vue.js
Vue.js에서 상태 관리를 위해 ref와 reactiv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두 방식 모두 반응형(Reactivity) 시스템을 제공하지만, 사용 방법과 동작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ref란?ref는 Vue 3에서 제공하는 반응형 상태 관리 방법 중 하나로, 기본형(Primitive) 데이터와 객체(Object) 모두를 반응형 상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. 반응형 변수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때 유용하며, 값에 접근할 때 .value를 사용해야 합니다.ref의 특징기본형 데이터(숫자, 문자열, 불리언 등)와 객체를 감쌀 수 있음반응형으로 관리하기 위해 .value 프로퍼티를 사용템플릿에서 자동으로 언래핑(자동으로 .value가 적용됨)기본형 데이터에서 ref 사용기본형 데이터를 다룰 때 ref를 사용하는 예제..
[Vue.js] Watch 속성
·
Frondend/Vue.js
소개이전에 Computed 속성에 대해서 자료를 찾던 중에 Method 보다 자주 나온 단어가 Watch 속성이다. 심지어 Computed 와 Watch 를 비교한 Vue.js 공식 문서 페이지가 있다. Watch 속성은 말그래도 보다 라는 말 그대로 지정한 특정 데이터를 계속 바로보며 변경사항이 생기면 바로바로 반응하여 작업한다고 알고 있는데 이거 말고 더 더 특징적인게 있을거라 생각하여 찾아볼려 한다.Watch공식 문서의 설명에 따르면 특정 데이터의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특정 로직을 수행해주는 속성입니다.즉, 비동기 작업이나 API 호출로 인하여 데이터가 변경될 떄 이를 감지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.기본 사용법/** 실행 결과 **/call beforeCreatecall wa..
[Vue.js] 라이브러리 VueUse
·
Frondend/Vue.js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[Vue.js] Vue.js 란?
·
Frondend/Vue.js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